본문 바로가기

이슈 & Now212

스타워즈 세계관의 새로운 지평, 만달로리안 시즌 3, Mandalorian season 3 이번 만달로리안 시즌3을 보면 스타워즈 팬들이 전편보다 훨씬 더 열광할 것으로 보인다. 스타워즈 세계관에 충실하면서 만달로리안들의 삶에 좀 더 다가가는 스토리로 전개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이렇게 만달로리안을 중심으로 한 스핀오프 스토리가 성공적으로 이어진다면 너무나 안타까웠던 스타워즈 에피소드 7~9를 완전히 다르게 리부트하길 바랍니다. 2023. 3. 28.
죽어야 산다. 존 윅 4 John Wick 4 북미 기준 3월24일에 미국에서 개봉한 존 윅 4. 우리나라는 4월12일에 개봉예정입니다. 미국 현지 반응은 호평 일색이라는데 매스컴에 의하면 시리즈 중에서 최고일 뿐만 아니라 액션영화 중에서도 손에 꼽을 영화라는 평이 많다고 합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미국 개봉을 며칠 앞둔 3월 17일 Charon역을 맡은 Lance Reddick 이 돌연 사망했다는 비보가 있었습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킬러 월드라는 세계관을 성공적으로 확장시키고 있는 영화 존 윅. 존 윅 4 한국 개봉이 엄청 기대됩니다. 2023. 3. 27.
어떤 경우엔 하나를 해결하기 위해 모든 것을 끌어 와야 한다. Everything Everywhere All at once. Everything Everywhere All at once. 영화라는 것이 어떤 것인지... (정**감독의 '카터'를 보다가 너무나 큰 회의감과 상실감을 경험한 후에 영화를 한동안 끊었는데... ) 기적처럼 진짜 영화와 조우했다. 영화란 바로 '에에올'처럼 만들어야 한다.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감상하다 보면 직관적으로 이해하게 된다. 아주 오랜만에 현실, 삶, 시대공감, 상상, 재미, 익숙함, 변주, 감동, 편집, 테크놀로지 등을 기가 막히게 융합하는데 성공한 걸작이 탄생했다. 연출진과 배우들에게 경의를 표합니다. 👏👏👏👏👏👏👏👏 2023. 3. 25.
블룸버그 통신이 뽑은 가장 혁신적인 나라 ​ 1위는 대한민국 한국이 올해도 가장 혁신적인 나라로 꼽혔다. 블룸버그통신의 22일 보도에 따르면, 한국이 ‘2019 블룸버그 혁신지수’에서 전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올해로 6년 연속 1위다. 올해 블룸버그 혁신지수를 보면, 한국은 총점 87.38을 얻어 독일(87.30)을 간신히 제쳤다. 독일이 최근 제조업과 교육 분야에서 크게 발전했다고 블룸버그는 밝혔다. 올해로 7년째에 접어든 블룸버그 혁신지수는 연구개발비, 제조능력, 공기업의 첨단기술 집중도 등의 일곱 가지 지표를 활용해 분석한 수치다. 3위는 핀란드가 차지했고, 4위는 스위스, 5위 이스라엘, 6위 싱가포르, 7위 스웨덴, 8위 미국, 9위 일본, 10위 프랑스 순으로 집계됐다. 미국은 작년 처음으로 10위권 밖으로 밀려난 뒤, 이번에 3계.. 2019. 3. 13.
Epoch Man 판타지영화가 아니다. ​​​​(사진은 게티이미지에서 가져옴) 2018. 6. 12.
현실이 상상보다 빠르다~ 프로 협상러들의 반전 카드 문재인 대통령은 27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미국이 비핵화 이후 북한과 적대관계를 종식하고 체제안전을 보장하겠다는 것을 확실히 신뢰할 수 있는지 걱정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전날(26일) 진행된 제4차 남북정상회담의 배경과 성과를 직접 설명하기 위해 이날 청와대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김 위원장에게 불분명한 것은 비핵화 의지가 아니다"라며 이렇게 말했다. 이같은 입장은 북한이 최근 관영매체를 통해 "우리가 바라는 것은 경제적 지원이 아니다"라고 강조해온 것과 일맥상통한다. 비핵화에 대한 보상으로 거론되는 체제보장과 경제지원 중 확실히 전자에 방점을 찍은 것이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6면에 게재한 사설에서 "그들(폭스뉴스TV 등 미국 매체)이 우리가 마치도 미국으로부터 &#.. 2018. 5. 27.
북미 정상회담 취소 관련 뉴스기사와 댓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이 돌연 북미 정상회담을 취소하자 중국은 놀라움을 금치 못하면서 미국이 회담 무산의 책임을 놓고 중국을 정조준할까 봐 좌불안석하는 분위기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수차례 북미 정상회담 준비 과정에 있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과 중국 때문에 순조롭지 못하다며 강력한 경고음을 보낸 바 있기 때문이다. 남북 정상회담에 이어 북미 정상회동으로 가는 결정적인 순간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중국으로 불러들여 논의한 시진핑 주석에게 비난의 화살이 쏠리는 것은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최근 중국은 한반도 문제에서 '중국 역할론'을 내세우며 김정은 위원장의 든든한 뒷배로 나섰는데 이제는 졸지에 북미 정상회담을 무산시킨 장본인이 될 우려가 커.. 2018. 5. 25.